● 태풍 예보시
태풍 예보시에는 TV, 라디오, 스마트폰 등에서 태풍이 예보된 때에는 거주 지역에 영향을 주는 시기를 미리 파악하여 이웃과 공유하고, 어떻게 대피할지 생각하여 가족이나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조치를 취하도록 합니다.
상세 행동요령
1. TV, 라디오, 인터넷 등 태풍의 진로 및 도달시간을 파악해서 어떻게 대피할지를 생각합니다.
2. 산간·계곡, 하천 등에서 야영이나 물놀이를 멈추고 주변 사람에게 위험을 알려 함께 안전한곳으로 대피합니다.
3.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은 미리 점검·결박하고 가정의 하수구나 집 주변의 배수구 미리 점검합니다.
4. 해변, 하천 저지대에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5. 비상시 신속한 대피를 위해 비상용품을 준비하여 재난에 대비합니다.
6. 외출은 자제하고 주변 가족들에게 수시로 전화 등을 통해 안부를 확인합니다.
● 태풍 특보 중
태풍이 시작된 때에는 주변 이웃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고, 외출을 삼가하며 가족에게 연락하여 위험상황을 알리고 안전 여부를 확인합니다.
상세 행동요령
1. TV, 라디오, 스마트폰 등을 통해 기상정보를 청취하여 내가 있는 지역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합니다.
2. 차량 운전시 속도를 줄여 운행하고 해안가, 하천변 등 침수 위험지역에는 접근하지 않습니다.
3. 건물의 출입문, 집안 실내에서의 안전수칙을 미리 알아두어 확인하고 점검합니다.
4. 정전이 발생한 경우 양초 사용 말고, 휴대용 랜턴을 사용합니다.
5. 공사장, 전신주, 지하 공간 등 위험지역에는 접근하지 않도록 합니다.
6. 주변 사람들에게 위험을 알리고 즉시 안전한 지역으로 함께 대피합니다.
● 태풍 이후
태풍이 지나간 후에는 피해 상황을 확인하고 가까운 행정복지센터 등에 피해 신고, 보수·보강을 하도록 합니다.
상세 행동요령
1. 태풍이 지나간 후 집으로 돌아갈 경우 주택 등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출입합니다.
2. 파손된 시설물은 가까운 시·군·구청, 주민센터에 신고합니다.
3. 침수된 도로나 교량은 위험함으로 건너지 않습니다.
4. 저장된 식수 또는 수돗물은 오염 여부를 확인한 후에 사용합니다.
5. 침수된 음식이나 재료는 식중독의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 행정안전부 국민행동요령, 임시주거실 등 안내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https://www.mois.go.kr/frt/a01/frtMain.do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 https://www.safekorea.go.kr/idsiSFK/neo/main/main.html
스마트폰 어플 '안전디딤돌'로 확인해주세요.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청소년증 발급방법 및 혜택 총 정리! (만 9세 부터) (0) | 2023.08.16 |
---|---|
건강염려증?? 불안해하고 공포를 갖는 일종의 강박장애 (0) | 2023.08.11 |
2023년 대전 송촌도서관 천효정 작가 특강 수업 (0) | 2023.08.09 |
여성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서비스 대전 대덕구 여성안심지킴이집 안내 (0) | 2023.08.08 |
건강보험 부모님 피부양자 인터넷 신청 등록 방법 (0) | 2023.08.07 |
댓글